Google Analytics를 사용하시는 많은 분들은 Dimension (측정 기준)과 Metric (측정 항목)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Dimension와 Metric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 콘텐츠에서는 Google Analytics를 구성하고 있는 Dimension와 Metric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oogle Analytics의 보고서들은 모두 Dimension(측정 기준)과 Metric(측정 항목)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의 보고서는 “모든 페이지” 보고서 입니다. 위의 보고서는 Page(페이지)라는 “Dimension”과 Pageviews(페이지뷰 수), Unique Pageviews(순 페이지뷰 수), Avg. Time on Page(평균 페이지에 머문 시간) 등의 “Metric”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의 보고서 이 외의 GA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보고서들은 “Dimension”과 “Metric”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GA 사용자들은 반드시 “Dimension”과 “Metric”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Dimension – 측정 기준
Dimension은 웹사이트 방문자들의 특성(속성)입니다.
누군가가 우리 홈페이지에 방문하게 되면 GA는 고객의 특성을 수집합니다.
예를 들어, 방문자는 12시 20분에 한국에서 네이버를 통해 “Google Analytics”를 검색해서 방문했습니다. 그 사람은 스마트폰의 크롬 브라우저를 통해 방문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렇다면 방문자의 속성은 무엇인가요?
- 시간: 12시 20분
- 국가: 한국
- 소스/매체: 네이버/Organic
- 키워드: Google Analytics
- 기기 카테고리: 모바일
- 브라우저: Chrome
위에 있는 시간, 국가, 소스/매체, 키워드, 기기 카테고리, 브라우저가 바로 GA의 Dimension으로 사용 됩니다.
Metric – 측정 항목
Metric은 Dimension을 측정하는 “숫자” 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 홈페이지에 방문한 고객의 국가별 방문수 분석하고 싶습니다.
GA는 고객들의 방문 국가를 모두 수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방문한 국가를 쭉 나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한국의 방문 수는 100, 미국의 방문 수는 20, 중국의 방문 수는 10과 같이 수집한 Dimension을 측정한 “숫자”가 바로 Metric입니다.
(위의 예시에서 사용한 방문 수라는 Metric은 GA에서 “Session”으로 사용됩니다. )
하나의 Dimension은 하나 이상의 Metric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스/매체”라는 Dimension은 아래의 Metric와 결합되어 있습니다.
- Sessions
- % New Sessions
- New Users
- Bounce Rate
- Pages / Sessions
- Session Duration
- Goal Conversion Rate
- Goal Completions
- Goal Value
GA가 제공하는 Dimension과 Metric은 엄청나게 많습니다.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시면 GA가 얼마나 많은 Dimension과 Metric을 제공하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developers.google.com/analytics/devguides/reporting/core/dimsmets
맨 처음에 GA의 보고서는 모두 Dimension과 Metric으로 이루어져 있다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GA 데이터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Dimension과 Metric에 대해서 많이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위의 콘텐츠는 GA에서 사용하는 주요 Metric에 대해 설명한 설명입니다.
GA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꼭 같이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